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8)
논문 리뷰) (Mobisys 2022) FedBalancer: Data and Pace Control for Efficient Federated Learning on Heterogeneous Clients - (4) 이전 게시글 2023.01.11 - [Papers/Federated Learning] - 논문 리뷰) (Mobisys 2022) FedBalancer: Data and Pace Control for Efficient Federated Learning on Heterogeneous Clients - (1) 2023.01.11 - [Papers/Federated Learning] - 논문 리뷰) (Mobisys 2022) FedBalancer: Data and Pace Control for Efficient Federated Learning on Heterogeneous Clients - (2) 2023.01.11 - [Papers/Federated Learning] - 논문 리뷰) (Mobisys 2022..
논문 리뷰) (Mobisys 2022) FedBalancer: Data and Pace Control for Efficient Federated Learning on Heterogeneous Clients - (3) 이전 게시글 2023.01.11 - [Papers/Federated Learning] - 논문 리뷰) (Mobisys 2022) FedBalancer: Data and Pace Control for Efficient Federated Learning on Heterogeneous Clients - (1) 2023.01.11 - [Papers/Federated Learning] - 논문 리뷰) (Mobisys 2022) FedBalancer: Data and Pace Control for Efficient Federated Learning on Heterogeneous Clients - (2) FedBalancer 관련 세번째 게시글이다. 꽤나 이야기가 길어지고 있는데 다음부터는 적당히 요약해서 쓰는 방법..
논문 리뷰) (Mobisys 2022) FedBalancer: Data and Pace Control for Efficient Federated Learning on Heterogeneous Clients - (2) 이전 게시글 2023.01.11 - [Papers/Federated Learning] - 논문 리뷰) (Mobisys 2022) FedBalancer: Data and Pace Control for Efficient Federated Learning on Heterogeneous Clients - (1) FedBalancer 리뷰 두번째 게시글이다. 생각보다 글이 자꾸 길어진다.,, FedBalancer FedBalancer의 overview이다. 총 7개의 step이 있다. (1) Server에서는 Client들에게 model weight와 loss threshold, deadline 총 세개의 정보를 보낸다. Client 쪽에서는 (2) Sample selection module에서 학습할 data를..
논문 리뷰) (Mobisys 2022) FedBalancer: Data and Pace Control for Efficient Federated Learning on Heterogeneous Clients - (1) 들어가며... 올해 첫 세미나 논문으로 Mobisys 2022년에 accept된 paper인 "FedBalancer: Data and Pace Control for Efficient Federated Learning on Heterogeneous Clients"를 선정하였다. 겨울방학 시즌동안 coursework이 없으니 Mobisys, Sensys, Mobicom 등 내가 연구하는 community에서 한 해동안 publish된 paper들을 모아다 읽을 계획이었는데, 마침 세미나를 하게 되어서 잘 되었다 생각했다. Fedbalancer는 카이스트 이성주 교수님 연구실과 중국 칭화대학 AIR에서 공동 연구로 나온 논문이다.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은 FL 알고리즘에서 학습에 활용되는 client..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3기: 부리부리 3분 대작전 감상 (1) - 현실과 시뮬라크르, 메타버스? 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왓챠 등 OTT의 발전 덕에 지나간 드라마나 영화를 비롯한 여러 영상 컨텐츠들을 즐길 수 있는 요즘이다. 그중 적잖은 시간을 투자하는 컨텐츠는 바로 짱구는 못말려...~ 어릴 때부터 짱구를 많이 봐왔는데, 당시에는 그냥 짱구의 코믹스럽고 장난 꾸러기 같은 면이 좋고 재미있어서 즐겨봤다면, 머리가 굵어지고 보는 짱구 극장판은 종종 재미를 넘어 메시지를 던지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어른 제국의 역습, 로봇아빠의 역습 등등... 나머지도 시간나면 인상 깊었던 부분을 기록해보겠다) 즐겨보는 것 같다. 최근에 돌려본 극장판은 '13기 부리부리 3분 대작전'! 대충 내용은 세상 시공간에 틈이 생겨서 벌어진 시공간 사이에서 괴물들이 나타나 세상을 파괴하는 상황. 그 벌어진 시공간에서 벌어지..
윈도우 caps lock -> 한/영 키로 만들기 본인은 연구실 컴퓨터는 windows 그리고 노트북은 mac을 사용하는 편인데, 이리저리 수업을 듣거나 집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가벼운 업무는 mac으로 처리하는 버릇이 들어서 mac의 단축키가 손에 익어버렸다. 나머지는 그냥 그러려니 하고 사용하는데(신기하게 cmd 키랑 ctrl 키가 스위치 껐다 키는거 마냥 전환이 잘된다. 인간의 뇌는 신비하다) 한/영 전환 키가 정말 손에 익지 않아서+caps lock 키의 사용 용도도 크게 없고(영어로 neutral한 글을 쓸 일이 별로 없으니...) 윈도우도 그냥 caps lock으로 한영 전환을 한다. 그러다가 전 게시글이랑 비슷한 이유로 연구실 컴을 포맷하면서 이걸 다시 설정해줘야 했다. 이것도 다시 찾아서 할려니 어지러워서 그냥 정리해두려고 한다. 1. ..
윈도우 Terminal 꾸미기 (Windows terminal theme 설정, Oh-My-Posh, 배경이미지 넣기) 작년 8월 중순부터 갑자기 연구실 컴퓨터에서 microsoft 관련 프로그램들이 모두 인증 관련 문제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당시에 5시간 정도 삽질을 하고 학교 부서에 연락을 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지만 결국 해결하지 못했고, 모든 slide 작업과 word, excel 같은 작업을 모두 mac에서 처리해야 했다. 데스크톱을 포맷해서 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당시에 논문을 쓰고 있어 시간을 내기도 귀찮았고, 파일을 백업하거나 정리하다가 논문 데이터를 날려버릴까 걱정되어서 포맷하지 못했다. 12월초에 논문도 냈고 학기도 종료되어서 코스웤 관련 자료들도 이제 대충 정리되었겠다 신년 맞이 데스크톱 포맷을 진행했고, 다행히 데이터도 잘 보존되었고 문제가 되었던 microsoft 프로그램들도 잘 작동..
영화 굿 윌 헌팅(Good Will Hunting)으로 그래프 이론 찍먹하기! (1) - Adjacency Matrix와 Walk 학부 1학년 1학기, 당시 선형대수학이랑 확률 통계를 한 학기동안 다 나가는 괴랄한 수업을 진행하시던 교수님이 여름방학 동안 보라고 추천해주신 영화가 하나 있다. 바로 맷 데이먼 주연의 굿 윌 헌팅. MIT에서 청소부로 일 하는 천재 윌이 삶에 대해서 깨닫는 대충 그런 영화다. 두 세번정도 돌려본 영화이기도 하다. 각설하고 영화의 초반부에 램보 교수는 학기를 마무리하는 문제로 칠판에 이상한 수학 문제를 휘갈겨 놓는다. 정확한 기억이 나진 않지만 해당 문제를 풀면 유명한 연구실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뭐 그런 어려운 문제라고 소개한다. 영화에서는 푸리에 이론이랑 관련있다고 했는데, 최근에 다시 영화를 보면서 보니 이거 푸리에 이론이랑 상관이 없어보인다. 그래프 이론이랑 관련된 문제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