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에에엥? (5) 썸네일형 리스트형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13기: 부리부리 3분 대작전 감상 (1) - 현실과 시뮬라크르, 메타버스? 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왓챠 등 OTT의 발전 덕에 지나간 드라마나 영화를 비롯한 여러 영상 컨텐츠들을 즐길 수 있는 요즘이다. 그중 적잖은 시간을 투자하는 컨텐츠는 바로 짱구는 못말려...~ 어릴 때부터 짱구를 많이 봐왔는데, 당시에는 그냥 짱구의 코믹스럽고 장난 꾸러기 같은 면이 좋고 재미있어서 즐겨봤다면, 머리가 굵어지고 보는 짱구 극장판은 종종 재미를 넘어 메시지를 던지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어른 제국의 역습, 로봇아빠의 역습 등등... 나머지도 시간나면 인상 깊었던 부분을 기록해보겠다) 즐겨보는 것 같다. 최근에 돌려본 극장판은 '13기 부리부리 3분 대작전'! 대충 내용은 세상 시공간에 틈이 생겨서 벌어진 시공간 사이에서 괴물들이 나타나 세상을 파괴하는 상황. 그 벌어진 시공간에서 벌어지.. 영화 굿 윌 헌팅(Good Will Hunting)으로 그래프 이론 찍먹하기! (1) - Adjacency Matrix와 Walk 학부 1학년 1학기, 당시 선형대수학이랑 확률 통계를 한 학기동안 다 나가는 괴랄한 수업을 진행하시던 교수님이 여름방학 동안 보라고 추천해주신 영화가 하나 있다. 바로 맷 데이먼 주연의 굿 윌 헌팅. MIT에서 청소부로 일 하는 천재 윌이 삶에 대해서 깨닫는 대충 그런 영화다. 두 세번정도 돌려본 영화이기도 하다. 각설하고 영화의 초반부에 램보 교수는 학기를 마무리하는 문제로 칠판에 이상한 수학 문제를 휘갈겨 놓는다. 정확한 기억이 나진 않지만 해당 문제를 풀면 유명한 연구실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뭐 그런 어려운 문제라고 소개한다. 영화에서는 푸리에 이론이랑 관련있다고 했는데, 최근에 다시 영화를 보면서 보니 이거 푸리에 이론이랑 상관이 없어보인다. 그래프 이론이랑 관련된 문제인 것 같다... 꼬맨틀로 NLP(자연어 처리) 찍먹하기 (3) - 꼬맨틀 치팅 프로그램 만들기! (完) *필자는 자연어 처리 전문가가 아니라 말하는 감자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다면 너그러히 이해하고 알려주세요. 반갑읍니다. 꼬맨틀 사골을 우리는 것도 이번 글로 마지막입니다. 사족으로 전처리 과정을 직접 돌려보신 분들은 아마도 '고작 꼬맨틀 하나 풀자고 이런짓까지 해야하나...?' 라는 생각이 드실텐데 저도 그랬읍니다. 긴 글 읽기는 귀찮고 결과 코드만 보고 싶은 분들을 위해서 코드만 따로 올려둡니다. * 소스코드 다운로드에서 zip 파일을 다운, 압축 해제 하시고 google colab 환경 혹은 local 환경에서 실행시켜 보시면 사용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잘한 사용법 및 오류는 귀찮으니 다루지 않으려는데 혹시 안되시면 댓글 남겨주시면 시간이 나면 답변하겠습니다. 본 글에서 다루는 코드는 제 gi.. 꼬맨틀로 NLP(자연어 처리) 찍먹하기 (2) - 꼬맨틀 치팅 프로그램 만들기(데이터 전처리 과정) *필자는 자연어 처리 전문가가 아니라 말하는 감자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다면 너그러히 이해하고 알려주세요. 저번글에서 꼬맨틀이 작동하는 기본적인 원리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저번에 다루었던 word embedding의 개념과 vector similarity의 계산을 기반으로 하여 꼬맨틀 게임을 치팅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다루겠습니다. 대부분의 내용이 python code를 분석하는 내용이라 '치팅만 할래...~' 하시는 분들은 다음글로 가시면 됩니다. 전처리 된 데이터만 날먹하시고 싶은 분들도 다음 글로... 우선 공개되어 있는 오픈소스를 제작자 분의 repo에서 가지고 와야 합니다만 이후 다룰 내용들도 있으니 그냥 제 github repo를 걸어두겠습니다. 다운.. 꼬맨틀로 NLP(자연어 처리) 찍먹하기 (1) - 꼬맨틀의 단어 유사도 측정의 원리와 유사도가 이상한 이유! *필자는 자연어 처리 전문가가 아니라 말하는 감자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다면 너그러히 이해하고 알려주세요. 최근에 친한 친구 덕분에 꼬맨틀이라는 게임을 알게 됐습니다. 꼬맨틀은 '단어 유사도 추측 게임'입니다. 나중에 시간이 되면 정리해볼 Wordle이라는 게임이 처음으로 하루에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단어를 제한된 기회 안에 맞추는 성격의 게임으로 인기를 얻었던 것 같습니다. 그 다음으로 나온 게임이 Semantle 입니다. Wordle이 횟수가 제한되어 있고, 단순히 일치하는 알파벳에 대한 정보를 줬지만, Semantle은 횟수 제한은 없고 단어를 입력하면 해당 단어가 정답 단어와 의미론적으로(Semantic하게) 얼마나 유사한 지에 대한 정보를 줍니다. 꼬맨틀은 Semantle의 한국어 버전이라고 볼.. 이전 1 다음